윤후영<스페이스 씨 운영자>  
 
문화세기 21c 한국은 지금 과학·산업과 예술의 결합, 일상의 예술, 예술의 일상화, 삶의 공간과 예술적 디자인, 공공의 미술 등 수많은 담론과 더불어 각종 정책과 사업이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개념을 새삼 논한다는 것이 이미 진부한 것이 될 정도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치·경제적 메커니즘에 의해 더욱 촉발되는 가운데 제도적, 집단적 또는 사적이거나 공공적 장에서 영리 및 비영리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대외의 활발한 문화 환경 전개와 함께 대전에서도 공공미술이 실천된 바 있다. 대동, 용촌동 프로젝트들이 그러한 예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 외에는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이렇다 할 활동이 없는 것이 현황이다. 물론 간판 디자인 정비사업 등이 전개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타협된 형식적 사업으로서 또 다른 획일화로 전개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틈바구니 가운데서 의미 있게 전개되는 자생적 예술문화축제 활동이 있다. 바로 ‘대흥동립만세’이다. 대전의 원도심에 자리 잡은 카페, 시민단체, 소극장, 출판사, 비영리예술매개공간, 창작센터 그리고 독립문화 활동가 및 뮤지션, 학생들과 작가들이 매년 각자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특정한 날에 펼쳐 보이는 행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거대한 공적기금이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문화예술 생산자 각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 표현하는 공동의 장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벌써 세 번째 열린 바 있는 이 축제는 여타 관제축제 등의 일시성, 행사성, 사업성 등 주관단체의 정치적 이익관계에 의거하지 않는 매우 참신한 축제로 이어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한 해 이루어지는 수천 개의 축제 가운데 매우 이례적으로 출발한 이것은 선자본적, 정치적, 상업적, 소모적, 일회적, 수동적, 관제적 행사들과는 뚜렷한 변별점이 있다. 바로 문화생산 개별자들의 자체 발상과 프로그램 구현 그리고 능동적 참여 및 저예산의 행사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행사의 구심점이 되는 조직구성이 신축적이라는 것이다. 상황과 처지에 따라 두레처럼 행해지다 보니 그야말로 동네, 즉 마을 성격으로서의 소규모 집단 문화공동체 의식을 엿보게 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연구 전문가들이 정책으로 개발하여 각 주체와 예산을 세워 지역으로 파급하며 실시하는 사업성의 인위적 문화 만들기와는 분명 다른 입장이라는 것이다.

행정관청의 사업과 예산에 의하여 주관하는 대전의 대표문화브랜드는 아니지만 바로 그러한 대표성의 강박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도 하나의 특이점이고 장점이다. 느리게 그리고 자율적이며 독립적인 마인드의 활동가들이 어떠한 철학과 비전으로 대전의 원도심 예술문화를 하나하나 형태화할 것인지 자못 흥미롭다. 한겨울이지만 내년 여름을 생각하며 뜨거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출처 : 대전일보 / 2010-1217]

 

 

+ Recent posts